본문 바로가기
건강

흡연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 2.담배와 폐질환

by 성공포기자 2023. 11. 23.

https://elevationtosuccess.tistory.com/entry/%ED%9D%A1%EC%97%B0%EC%9D%B4-%EC%9A%B0%EB%A6%AC-%EB%AA%B8%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1%EB%8B%B4%EB%B0%B0%EC%9D%98-%EC%9C%A0%ED%95%B4%EB%AC%BC%EC%A7%88

 

흡연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 1.담배의 유해물질

건강에 대한 글을 쓸 때 술과 담배는 항상 몸을 망치는 나쁜 것이라고 작성해 왔다. 특히 담배는 한 가지도 몸에 이로울 것이 없다. 흡연자들의 흡연 시작 연령이 갈수록 낮아지는 것도 큰 문제

elevationtosuccess.tistory.com

 

 지난번 담배의 유해물질에 대해 알아본데 이어 이번에는 흡연으로 인해 발생하는 폐질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폐는 산소를 흡입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주된 호흡기관이다. 산소를 마시면 폐로 들어가 혈액을 통해 각 조직으로 운반되고 각 조직세포는 산소를 이용해 에너지를 만든다. 에너지를 만들어내며 생성된 이산화탄소는 호흡을 통해 자연스럽게 몸 밖으로 배출되는 호흡과정이 일어난다. 흡연은 이러한 폐의 작용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장기간의 흡연은 폐암, 폐기종의 원인으로 판명되어 있다.

흡연은 다양한 질병들의 주된 원인이 된다

폐암

 

 담배연기 속 성분은 폐암, 후두암, 구강암, 식도암, 췌장암 같은 여러 종류의 암을 유발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폐암의 발병 확률을 높이는 주요 위험요소이다. 흡연을 하게 되면 타르와 니코틴은 폐 가장 깊숙한 곳까지 들어가 폐조직에 붙는다. 타르로 인해 이물질 제거기능 장애가 초래되고 담배연기 속 여러 유해물질에 대한 노출시간을 늘린다. 그렇게 여러 발암물질이 효과를 가중시켜서 폐암이 유발되는 것이다.

 흡연의 양이 많을수록, 흡연을 장시간 해왔을수록 폐암 발생률은 높다고 한다. 특히 어린 나이에 담배를 시작했다면 나중에 나이가 들었을 때 폐암 발생률은 더 많이 증가한다. 담배 필터를 사용하면 니코틴과 타르의 흡입을 줄일 수 있어 폐암 위험률을 줄일 수 있기는 하다. 금연을 하게 되면 위험률은 아예 증가하지 않으며, 금연을 지속할 경우 암 발생 확률이 80%는 줄어든다고 한다.

 

만성폐기종

 

 만성폐기종 역시 흡연에 의해 주로 발생하는 질병이다. 만성폐기종의 주 증상은 호흡하는 게 힘들어지고 폐의 확산능력 감소로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는 능력, 이산화탄소 제거 능력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결국 폐 일부에서는 공기의 유통이 막혀 조직이 사멸해 버리고 폐동맥의 수가 감소하게 된다. 만성폐기종은 우심장부전의 원인이 되는데 그 이유가 이러한 증상이 우심장의 부담을 가중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증상은 몇 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고, 저산소증이나 탄산과잉증에 의해 결국 사망하게 된다. 폐기종을 치료하는 방법은 가장 중요한 게 금연이며, 폐의 재생을 위한 고단백 고열량 식이를 하는 것이다.

 

심혈관계질환

 

 담배를 피우는 양에 따라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은 증가한다. 흡연을 하게 되면 일산화탄소를 마시면서 심근에 산소가 부족해지게 된다. 또한 니코틴으로 인해 동맥 내벽세포가 손상되어서 콜레스테롤 같은 지방이 침투하기가 쉬워져 동맥경화가 생기는 것이다. 이처럼 흡연을 하게 되면 혈액 속 지질 농도에 영향을 미쳐 관상심장질환을 불러올 수 있는 것이다.

담배는 내 미래를 태우는 습관이다

 

<마치며>

 

 여기에 작성된 질병들은 흡연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병을 적은 것이다. 흡연은 더욱 다양한 질병들의 원인이 된다. 흡연은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습관이다. 중독으로, 스트레스 해소 용으로, 또는 다이어트 용으로 담배를 피우는데 담배가 얼마나 우리 몸에 해로운지 인식하고 그게 금연으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다음에 또 담배에 대한 글을 쓴다면 3편으로 금연하는 방법에 대해 쓰게 될 것 같다.

반응형